
다자대결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지지율 35%로 동률을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0일 나왔습니다. 당선 전망에서는 윤 후보의 승리를 예상하는 응답이 더 많았습니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등 여론조사업체 4개사가 전국 성인 1007명을 대상으로 지난 7~9일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이 후보와 윤 후보는 각각 35%의 지지율을 얻었습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는 9%,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4%를 기록했습니다.
연령대별로 보면 20대·60대·70대에서 윤 후보의 지지율이 이 후보의 지지율보다 높았습니다. 20대에서 윤 후보는 32%를 얻어 이 후보(18%)를 제쳤습니다. 60대에선 49%를 얻어 이 후보(38%)를 앞섰습니다. 70대에서 윤 후보는 52%, 이 후보는 23%의 지지를 받았습니다.
반면 30대·40대·50대에선 이 후보가 윤 후보보다 높은 지지를 받았습니다. 30대에서 이 후보는 34%의 지지를 얻어 윤 후보(25%)를 앞섰습니다. 40대에서 이 후보는 45%로 윤 후보(22%)를, 50대에서 이 후보는 44%로 윤 후보(36%)를 각각 제쳤습니다.
후보별 호감도는 안 후보가 48%로 가장 높았습니다. 그다음은 윤 후보가 40%, 이 후보 39%, 심 후보 37% 순이었습니다.
도덕성이 가장 높은 후보로는 안 후보가 40%로 가장 많았습니다. 그다음이 윤 후보 16%, 심 후보 15%, 이 후보 12%로 나타났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이 51%로 긍정적(43%) 보다 높았습니다.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 33%, 국민의힘 34%, 국민의당 6%, 정의당 5% 등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번 조사는 국내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면접으로 진행됐습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 3.1%포인트입니다.
'정치와 경제 >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대 대선후보 마지막 여론조사와 역대 대선 마지막 여론조사 결과와 실제 득표 결과와의 차이 (0) | 2022.03.02 |
---|---|
2022 20대 대선후보 공약 비교 (2) | 2022.02.06 |
2022 20대 대통령선거일정(대선일정)에 대한 이야기와 예비후보자와 후보자 차이 (0) | 2022.01.28 |
2022 대선토론일정 및 역대 대통령후보 tv토론 (2) | 2022.01.18 |
종전선언의 의미와 비핵화 (0) | 2021.1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