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02 교사에 대한 오해와 진실(두번째, 9호봉) 왜 교사는 8호봉 혹은 9호봉부터 시작하나요? 초임이면 1호봉부터 시작해야 하는거 아닌가요?라는 오해가 많다. 이번엔 호봉에 대해서 알아보자. 옛날에는 교사가 자격증 취득 구분대로 2급 실기교사, 2급 준교사, 2급 정교사, 1급 정교사, 교감, 교장 등으로 다양하게 나뉘어 있었고, 초등교사와 중등교사도 호봉표가 달랐다. 각 교사의 학력 차이도 다 달랐다. 그러던 중 1980년대에 교사들의 호봉을 통합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교사의 학력으로 자격증을 차등하고, 이 자격증의 차이가 호봉을 차등화시켰다. 초임 호봉을 계산하는 계산식이다. 획정호봉=기산호봉 + (학령-16) +가산연수 + 환산경력연수 여기서 기산호봉이란 4년제 졸업하고 교직 이수후 정상적으로 졸업한 2급 정교사는 8호봉으로 산정.. 2021. 11. 30. 교사에 대한 오해와 진실(첫번째, 방학) 요즘 교사를 적폐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 것 같다. 이 것은 언론플레이와 무지와 뭐든지 깎아내리려는 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라 참 안타깝다. 인터넷에는 뭐 물고늘어질 게 있으면 사실인지 아닌지 중요하지 않고 무조건 욕하고 깎아내리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런 이유로 인터넷(준)실명제 얘기가 계속 나오고 인터넷 뉴스의 연예기사 부분의 댓글란이 없어지는 등의 일들이 일어난다. 아무튼 오늘은 일반인들이 많이 오해하는 부분을 바로잡기 위해서 글을 쓴다. 교사들이 인터넷에서 욕을 많이 먹는데 그 이유는 다들 학창시절을 보내면서 많이 접해 본 직업이고 아이를 키우면서도 접하게 되면서 교사를 타직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잘 안다는 착각 때문인 것 같다. 먼저 교사하면 악플에 제일 많이 나오는 것이 '방학 때 놀면서 월급.. 2021. 11. 27. 2022년 다자녀 지원(혜택) 정리(다자녀가구, 다자녀가정) 오늘은 2022년 변화되는 다자녀가구 혜택을 정리해보겠다. 나도 다둥이 아빠이기 때문에 관심이 많이 가는 주제다. 하나씩 짚어보겠다. 일단 제일 큰 변화는 다자녀 가구가 지금까지는 3자녀 이상이었는데 저출산 시대에 맞춰 2자녀 이상부터 다자녀 지원을 받게 되는 것이다. 첫째로 아이돌봄서비스 지원이 확대된다. 기존 다자녀 가구로 지원받던 가정이 만 12세 이하 아동 3명 이상 또는 36개월 이하 영아 2명 이상이 기준이었는데 2022년부터 만12세 이하 아동 2명 이상(36개월 이하 영아 1명 포함) 가정도 다자녀 가구로 지원받을 수 있다. 둘째로 다자녀 국가장학금 확대다. 2022년부터 기초•차상위 가구 둘째이상 등록금 전액 지원하고, 다자녀 국가장학금 대상 가구(3자녀이상, 학자금지원 8구간(4인가구 .. 2021. 11. 24. 온종일 돌봄과 출산율(feat. 3시 하교제), 초등돌봄교실과 저출산 이재명 대선 후보가 공약으로 초등 3시 동시하교제를 들고 나왔다. 국제적 추세라는 것과 저학년이 빨리 하교하다보니 우리나라가 OECD평균보다 정규수업시간이 적은 점을 짚으면서 이야기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점인 보육을 위해 부모님들이 직장을 그만둘 필요가 없다는 점도 빼놓지 않았다. 이재명 후보의 3시 동시하교제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온종일 돌봄체제의 연장선상이다. 문재인 정부는 2022년까지 돌봄을 받는 학생 수를 20만명 더 늘리겠다고 얘기했었다. 그리고 작년 한창 뜨거웠던 법안인 '온종일 돌봄 특별법' 과도 관계된 이야기다. 이 법안은 교사와 돌봄전담사, 학부모, 지자체 등의 이해관계가 많이 맞물리면서 발의 후 잡음이 컸다. 아무튼 온종일 돌봄은 어떤 모양새든지 시행은 될 것이다. 맞벌이.. 2021. 11. 22. 이전 1 ··· 45 46 47 48 49 50 51 다음 반응형